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부동산2

투자부동산의 계정재분류시 회계처리방법 알아보기 오늘은 투자부동산의 계정재분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부동산(건물, 토지 등)의 경우 목적에 따라서 투자부동산, 재고자산, 유형자산으로 분류하게 되는데 부동산의 용도변경에 의해서 계정재분류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때, 서로 평가방법이 다른 경우에는 평가손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유형자산에서 투자부동산으로 계정재분류를 한다면, 유형자산은 보통 원가모형에 따라 평가를 하고, 감가상각비를 인식합니다.하지만 투자부동산의 경우 공정가치모형을 통하여 평가를 하면 감가상각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감가상각누계액을 없애주는 회계처리와 분류변경에 따른 손익을 인식해주는 회계처리가 필요합니다.투자부동산(원가모형) ↔ 유형자산, 재고자산 이때는 재분류하기가 참 편합니다. 그냥 재분류 하기 전의 자산 장부금액을 .. 2020. 3. 18.
투자부동산이란? (유형자산, 재고자산과 구분하는 방법) 투자부동산이란? 투자부동산에 대하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제1040호 '투자부동산' 에서 규정하고있습니다. 기준서에서는 투자부동산을 '임대수익이나 시세차익 또는 둘 다를 얻기 위하여 소유자가 보유하거나 리스이용자가 사용권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즉, 임대나 시세차익을 위하여 보유하는 부동산(토지, 건물)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 하라는 것입니다. 기준서에서 투자부동산에 대한 몇가지의 사례를 들고 있는데 이를 보시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투자부동산의 사례1. 장기 시세차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토지(통상적인영업과정에서 단기간에 판매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토지는 제외한다.)2. 장래 용도를 결정하지 못한 채로 보유하고 있는 토지(만약토지를 자가사용할지, 통상.. 2020.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