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수금2 미수금과 미수수익 구분하기! 미수금 미수금은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활동 이외의 거래에서 대금을 아직 못받은 금액을 말합니다.주로기업의 토지, 건물 등의 유형자산의 거래에서 발생하게 됩니다.예)(차) 미수금 1,000,000 (대) 건물 8,000,000 (대) 유형자산 처분이익 200,000 만약 정상적인 영업활동에서 상품을 외상판매 한다면 매출채권으로 처리하게 됩니다.미수금과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의 이전글에서 자세하게 구분해 놓았으니 참고 해 주시기 바랍니다.2020/02/27 - [공부/회계] - 매출채권과 미수금의 차이점 알아보기!미수수익 미수수익은 기간적으로 확실하게 수익은 발생했지만 대금은 아직 못받았을 때,발생기준에 따라서 수익과 비용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자산계정입니다. 주로 이자수익이나, 임차료 같은.. 2020. 2. 28. 매출채권과 미수금의 차이점 알아보기! 매출채권 vs 미수금매출채권 매출채권의 사전적 정의는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활동 과정에서, 재화의 판매나 용역의 제공을 통한 수익창출 활동으로 발생한 채권 입니다. 쉽게 이야기해서 매출채권은 기업의 상품(재화나 용역)을 판매하고 아직 못받은돈에 대한 권리 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로 재고자산을 판매하고 매출 채권이 생기게 됩니다. 실무에서는 상품을 판매하고 대금에 대해서 어음을 받아온 경우에는 받을어음으로, 신용상 구두로 약속한 경우에는 외상매출금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게 되지만기업의 재무상태표 상에서는 매출채권으로 통합되어 표시합니다.미수금 미수금은 상품(재화나 용역) 이외의 자산을 판매하고 발생한 채권을 말합니다.예를들어 기업의 건물, 토지, 비품 등을 외상으로 매각할 경우에 미수금으로 처리하게.. 2020. 2.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