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과 투자위험




 주식에 투자할때 투자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상황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아마 손실부터 상장폐지, 끝에는 기업이 망하는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기업이 망하게 되면 내가 산 주식은 휴지조각이되고 말 것입니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라는 말을 들어본적이 있을 것입니다. 높은 수익률을 쫒아 투자를 하게 되면 엄청난 위험을 떠안고 투자를 하게 되는데, 휴지조각이 될 주식들은 대부분 대박을 쫓아다니는 투자자들이 산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손실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보조지표가 바로 PBR입니다.

 





PBR의 계산법과 주당순자산(BPS)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하는데, 주가대비 순자산의 비율을 나타내어 줍니다.


먼저 주당순자산은 BPS라고 하는데,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총 발행주식수로 나누어준 금액입니다. 순자산은 청산가치라고도 하게되는데, 기업이 망한다면 순자산은 모두 주주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주당순자산(BPS)는 기업 청산시 주식 1주당 받을 수 있는 금액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시 돌아가서 주가순자산비율(PBR)주가를 주당순자산(BPS)로 나눈 것인데, 이것은 현재 주가가 순자산의 X배로 거래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주가가 순자산의 몇배로 거래되고 있다는 것이 뭐 어쩌라고란 생각을 하실 수도 있지만, 이것이 손실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시키는데에 참 중요합니다.


위에서 주당순자산(BPS)가 기업이 망한다면 주식1주당 받을 수 있는 금액이라고 말씀드렸는데, 만약 어떤 기업의 주당순자산(BPS)이 천원일때, 그 기업의 주식을 사고자 한다면 주가가 최소한 천원은 되어야 만약 기업이 망했을때 손해를 보지 않을 것입니다.


예를들어)

A기업의 (순자산=1억), (총발행주식수=만주), (현재주가=만원) 이라고 가정한다면,

주당순자산(BPS) = 만원

주가순자산비율(PBR) = 1 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A기업을 현재주가 만원에 1주를 샀다면, 망하게 되더라도 기업을 청산하여 만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손해를 보지 않게 됩니다.


반대로, 현재주가=12,000원 이라고 가정한다면,

주가순자산비율(PBR) = 1.2 이 되는데, 이경우에는 현재 주가 12,000원에 주식을 구입하고, 기업이 망한다면, 만원만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2천원의 손해를 보게 됩니다.







투자시 PBR 참고하는 방법




위에서 PBR의 계산법과 PBR이 어떤의미인지 설명해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실제 투자시 PBR을 어떻게 참고해야 할지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A기업의 (순자산=1억), (총발행주식수=만주), (현재주가=7천원) 이라고 가정한다면,

주당순자산(BPS) = 만원

주가순자산비율(PBR) = 0.7 이 나옵니다.


A기업의 주식 전부를 매입하여 기업을 소유하려면 (주가 7천원 X 총 주식수 만주) = 7천만원이 필요합니다. 7천만원을 주고 1억짜리 기업을 사게 되는 것이지요.


만약, PBR=0.5인 기업이라면 5천만원을 주고 1억짜리 기업을 살 수 있습니다.


즉, PBR=1미만 이라면, 주가가 주당순자산(BPS)보다 낮다는 뜻으로, 매수를 고려해볼만 하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PBR이 1미만이라고해서 무조건 좋은 주식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벤처기업이나 제약회사의 경우 현재 기업의 재무상태나 매출보다는 미래 성장성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PBR이 높습니다.


또한 PBR이 1미만이지만 업종평균 PBR에 비해서 높은 경우인데,

만약 PBR=0.7인 기업은 PBR상 저평가 되어있는 기업이지만, 이 기업의 동종업계의 평균 PBR=0.6 이라면 저평가가 아닌 고평가가 되어있는 기업이 될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기본적으로 PBR이 1미만, 그중에서도 통상적으로 0.7이하라면 매수에 긍정적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PBR=0.7이하'라는 절대적인 수치로 생각하시지 말고, 기업의 특성에 맞게 (제약, 벤처기업과 같은..), 또한 업종평균 PBR을 꼭 고려해서 판단하여야 할 것입니다.

+ Recent posts